하루 당분 25g, 얼마나 먹을 수 있을까? – 식품별 당분 함량 완전 정리

사과 1개, 커피 2잔이면 이미 초과? 당분 줄이기 실전 식단 전략과 대체 식품까지 안내합니다.
2025-04-15
4 mins read
14 views
설탕 25g과 단 음식들

“하루 당분 25g이면 뭐 얼마나 먹을 수 있어요?”

알고 보면 순식간에 넘기는 ‘달콤한 함정’과 간을 살리는 식단 전략

“당분은 하루 25g 정도로 줄이세요.”
“간 건강을 생각하신다면 20g 이하가 좋아요.”
…그런데 솔직히, 25g이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 오시죠?
그냥 설탕 스푼으로 재서 먹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하루 당분 25g, 실제로 어떤 음식이면 넘고, 어떤 조합이면 지킬 수 있을까?”
실제 식품 기준으로 알아보는 당분 계산표 + 생존 식단 전략!


✅ 당분 25g = 얼마나 먹을 수 있을까?

기준부터 체크!

대상1일 권장 당분
일반 성인최대 50g (WHO 기준)
이상적 건강 기준25g 이하
간 건강 주의자 (지방간, 간염 등)20g 이하

🎯 이번 포스트에서는 ‘25g 이하’를 목표로 식단을 설계합니다.


⚠️ 먼저! 25g이 얼마나 금방 넘는지 보세요

식품1회 섭취량당분 함량
콜라 1캔355ml35~39g 😱 → 한 캔이면 초과
초코바 1개스니커즈 기준20~25g → 딱 1개면 끝
사과 1개중간 크기17~20g → 과일도 주의
커피믹스 1잔보통 1포 기준8~10g → 하루 2잔이면 20g 도달
딸기우유 1병200ml20~23g → 한 병이면 끝

즉, 아무 생각 없이 간식 1~2개만 먹어도 하루 권장량 끝!


✅ “그럼, 실제 식단은 어떻게 구성해야 25g을 안 넘을까?”

[하루 총 당분 목표: 25g 이하 식단 예시]

끼니식단 구성추정 당분 (g)설명
아침삶은 계란 2개 + 고구마 100g + 블랙커피4g고구마의 천연당만 소량 포함
점심현미밥 + 닭가슴살 + 채소볶음 (무당 소스)5g복합당 위주, 간에 부담 없음
간식견과류 한 줌 + 무가당 두유 200ml3g단백질 + 포만감 조합
저녁연어구이 + 브로콜리 + 두부 + 무설탕 드레싱3g고단백 저당 메뉴
후식방울토마토 5개 + 사과 ¼개6g과일은 소량만, 통째로 먹기

총합: 약 21g → 간 건강에 부담 없는 식단 달성!


🍓 실전 참고! 식품별 당분 함량표 (1회 기준)

식품당분 (g)비고
고구마 100g4g천연당 포함, GI 낮음
사과 ¼개5g통째로 먹을 때 기준
방울토마토 5개3g저열량, 포만감 있음
두유 (무가당) 200ml3g고단백 간식용
현미밥 1공기3g복합당 위주
블랙커피0g당 걱정 없음!
구운 견과류 (10g)0g당 없음, 단 칼로리는 주의

🔎 주의! “이 정도쯤은 괜찮겠지?” 하는 숨은 당분

식품군숨어 있는 당분
시리얼, 그래놀라1그릇으로 15~20g 이상
‘무설탕’ 음료과일농축액, 대체감미료 주의
요거트플레인 아닌 경우 15g 이상
소스류케첩, 드레싱 1큰술에 10g 이상
건강바‘건강해 보이는 간식’도 당으로 범벅된 경우 많음

💡 당분 25g 지키기! 실전 팁

  • 음료는 블랙 or 무가당으로!
    커피믹스 → 아메리카노, 과일주스 → 물 or 탄산수
  • 후식은 과일도 ¼개만!
    “사과는 몸에 좋아”라는 말도 양 조절이 전제입니다.
  • 소스 줄이기!
    케첩 대신 들기름, 마요 대신 식초+소금 활용
  • 끼니별로 당분 나누기
    몰아 먹지 말고 아침~저녁까지 균형있게 분산

하루 25g 당분 식단 요약

🟢 고구마 100g → 4g
🟢 사과 ¼개 → 5g
🟢 방울토마토 5개 → 3g
🟢 현미밥 1공기 → 3g
🟢 채소반찬 + 단백질 위주 → 4g
🟢 두유(무가당), 블랙커피 → 2g
= 총합 약 21g


달콤한 건 잠깐, 간 건강은 평생입니다.

하루 당분 25g, 생각보다 정~말 금방 넘어갑니다.
사과 하나, 커피 두 잔, 우유 한 병만 해도 이미 초과!

간 건강을 지키고 싶다면,
“단 거 줄이기”는 선택이 아니라 전략입니다.
오늘 식단부터 당분을 한 번 세어보세요.
생각보다 쉽고, 생각보다 효과가 클지도 모릅니다.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간지남

건강을 무시하던 환자에서, 실천하는 사람으로 의사는 아니지만,
질병과 매일 사는 법을 아는 사람입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Follow me

Don't M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