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broScan 검사결과 해석: 간 섬유화와 지방간을 한눈에 파악하기

FibroScan 검사로 간 건강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검사 결과 해석법과 정상 범위, 관리 방법을 쉽게 설명합니다.
2025-05-23
2 mins read
4 views
간 스캔 검사하고 있는 의사와 환자 모습
간 스캔 검사하고 있는 의사와 환자 모습

FibroScan 검사란?

FibroScan(피브로스캔)은 간의 섬유화(Fibrosis)와 지방증(Steatosis)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간 조직 생검(간을 채취하는 조직검사) 없이도 간의 경도(딱딱한 정도)와 지방 축적 상태를 초음파 탄성파 기술을 활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1. FibroScan 검사 지표

FibroScan 결과는 두 가지 주요 지표로 나타납니다:

  1. Liver Stiffness Measurement (LSM, kPa)
    • 간의 **경도(딱딱한 정도)**를 나타내며, 섬유화 정도를 반영합니다.
    • 단위: kPa (킬로파스칼)
  2. Controlled Attenuation Parameter (CAP, dB/m)
    • 간의 지방축적 정도를 나타냅니다.
    • 단위: dB/m (데시벨/미터)

2. Liver Stiffness Measurement (LSM) 결과 해석

LSM 값 (kPa)해석의미
< 6.0정상간에 섬유화가 거의 없음
6.0 ~ 7.5F1가벼운 섬유화 (Fibrosis)
7.6 ~ 9.5F2중등도 섬유화 (Significant Fibrosis)
9.6 ~ 12.5F3중증 섬유화 (Severe Fibrosis)
> 12.5F4간경변 (Cirrhosis) 가능성 높음

참고: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NASH), B형 간염, C형 간염에 따라 기준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Controlled Attenuation Parameter (CAP) 결과 해석

CAP 값 (dB/m)해석의미
< 238정상지방간 없음 또는 미미함
238 ~ 260경도 지방간지방 축적이 시작됨
260 ~ 290중등도 지방간지방 축적이 명확함
> 290중증 지방간심각한 지방 축적 상태

참고: CAP 값은 지방간 진단을 보조하는 지표로, LSM과 함께 해석됩니다. 지방간이 있으면 섬유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두 수치를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4. FibroScan 결과 해석 예시

CAP (dB/m)LSM (kPa)해석
2455.5가벼운 지방간, 섬유화 없음
2758.0중등도 지방간, 중등도 섬유화
31013.0중증 지방간, 간경변 가능성

5. 추가 해석 시 참고 사항

  1. 검사 전 공복 유지: 검사 전 최소 2~3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2. 비만이나 복부 지방이 많은 경우 오차 가능성: 지방이 많을 경우 초음파가 산란되어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다른 검사와 함께 해석: FibroScan 단독 결과만으로 진단하지 않으며, 혈액검사(ALT, AST, GGT)초음파 검사와 함께 평가해야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6. FibroScan 후 필요한 조치

  • F0 ~ F1 (정상/경도 섬유화): 생활습관 개선 (식단 관리, 금주, 체중 조절)
  • F2 (중등도 섬유화): 정기적인 간 수치 검사 및 전문의 상담
  • F3 (중증 섬유화): 간 기능 악화 예방을 위한 집중적인 관리 필요
  • F4 (간경변): 정기적인 병원 방문과 약물 치료, 간암 검진 필요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간지남

건강을 무시하던 환자에서, 실천하는 사람으로 의사는 아니지만,
질병과 매일 사는 법을 아는 사람입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Follow me

Don't M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