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사 방식 비교
항목 |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CT (Computed Tomography) | 초음파 (Ultrasound) |
---|---|---|---|
원리 | 자기장을 이용한 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 X선을 활용하여 단면 영상을 촬영 | 초음파를 반사시켜 영상 생성 |
해상도 및 정밀도 | 연부 조직과 미세한 병변에 대한 해상도가 가장 높음 |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빠르게 파악 가능 | 실시간으로 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간경변 진단 | 섬유화 진행과 미세 병변 식별에 우수 | 간 조직의 형태 변화 확인 | 간 표면의 결절, 섬유화 정도 파악 |
간암 진단 | 1cm 미만의 작은 종양도 발견 가능 | 조영제를 사용해 간암을 빠르게 탐지 | 종양 위치 확인 가능하지만 작은 병변 식별은 어려움 |
검사 시간 | 약 30~40분 소요 | 10~15분 소요 | 5~10분 소요 |
방사선 노출 | 없음 | 있음 (X-ray 사용) | 없음 |
조영제 사용 | 조영제 (가돌리늄) 사용 시 선명도 향상 | 조영제 (요오드계) 사용 시 암 진단에 유리 | 별도의 조영제 필요 없음 |
검사 비용 | 건강보험 적용 시 약 20~40만 원 | 건강보험 적용 시 약 10~20만 원 | 건강보험 적용 시 2~5만 원 |
비용 부담 | 상대적으로 높음 | 중간 수준 | 가장 저렴 |
장점 | – 연부 조직 해상도 최고 – 작은 병변도 탐지 가능 – 방사선 노출 없음 | – 빠른 검사 시간 – 암의 전이 여부 확인 가능 – 여러 부위를 동시에 촬영 가능 | – 실시간 확인 가능 – 비용 부담이 적음 – 방사선 노출 없음 |
단점 | – 검사 시간 길고, 폐쇄 공포증 유발 가능 – 비용이 높음 – 금속 이식 환자 불가 | – 방사선 노출 위험 – 조영제 부작용 가능성 | – 작은 병변 식별에 한계 – 해상도 낮음 – 진단 정확도가 낮을 수 있음 |
2. 검사 선택 전략
- 정밀 진단이 필요한 경우:
- MRI가 가장 적합합니다. 특히 작은 결절이나 간의 미세한 변화를 확인할 때 유리합니다.
- 암의 크기와 전이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때:
- CT가 효과적입니다. 검사 시간이 짧고, 복부 전반을 빠르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 정기 검사 및 초기 스크리닝:
- 초음파가 경제적이며 방사선 노출이 없으므로 정기 검진에 유리합니다.
3. 추천 조합
- 정기 검사:
- 6개월에 한 번 초음파 + 혈액검사 (AFP)
- 1년에 한 번 CT 또는 MRI
- 고위험군 (간경변 + 간암 가족력):
- 6개월에 한 번 초음파 + MRI
- 필요 시 CT 추가
- 암 진단이 의심될 때:
- CT 또는 MRI로 신속한 확인
4. 그외 간 질환 진단 영상 검사법
사실 위의 3대장 외에도 여러 검사 방식이 존재합니다. 처음부터 한꺼번에 펼쳐 놓으면 부담스러우실 것 같아 3대장 먼저 말씀드리고, 이렇게 나머지도 슬쩍 끼워서 공유드립니다.
1️⃣ FibroScan (간 탄성도 검사)
- 원리: 초음파를 이용해 간의 경도(단단함)를 측정합니다. 간경변과 간섬유화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확인합니다.
- 장점: 간 생검 없이도 섬유화 상태를 평가할 수 있으며, 통증이 없고 검사 시간이 10분 이내로 짧습니다.
- 단점: 복부 비만 환자나 심한 염증이 있을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활용: 간경변 진행 정도 확인, 치료 경과 평가
2️⃣ PET-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Computed Tomography)
- 원리: 방사성 의약품을 주사하여 암세포의 대사 활동을 영상으로 촬영합니다.
- 장점: 암세포의 대사 활동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여, 전이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단점: 방사선 노출이 크며, 검사 비용이 비쌉니다.
- 활용: 간암의 전이 여부 확인, 간 이외의 부위 전이 검사
3️⃣ 간 혈관 조영술 (Hepatic Angiography)
- 원리: 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간으로 가는 혈류를 촬영합니다.
- 장점: 간암이 간 혈관을 어떻게 침투했는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침습적 검사로 출혈이나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 활용: 간암 수술 전 혈관 분포 확인, 간 동맥 화학색전술 (TACE) 시 사용
4️⃣ 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 원리: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여 간 기능과 혈류 상태를 3D 이미지로 촬영합니다.
- 장점: 간의 기능적 변화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단점: CT나 MRI보다 해상도가 낮습니다.
- 활용: 간 기능 평가, 암의 기능적 변화 감지
5️⃣ MR Elastography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
- 원리: MRI를 통해 간의 경도와 탄성도를 측정합니다.
- 장점: 비침습적으로 간 섬유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FibroScan보다 정확도가 높습니다.
- 단점: 검사 비용이 높으며, 일부 병원에만 장비가 있습니다.
- 활용: 간섬유화 진행 단계 평가, 간경변 확인
6️⃣ 간 생검 (Liver Biopsy)
- 원리: 간 조직을 직접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합니다.
- 장점: 섬유화와 염증 정도를 가장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침습적이며 출혈 위험이 있습니다.
- 활용: 확진이 어려운 경우 최종 확진용
▣ 전체 영상 검사 간략 정리
검사명 | 용도 | 주요 장점 | 주요 단점 | 활용 사례 |
---|---|---|---|---|
MRI | 미세한 간 병변 탐지 | 고해상도 이미지 | 비용이 높음 | 간암 조기 발견 |
CT | 간의 형태와 크기 변화 | 빠른 촬영 시간 | 방사선 노출 | 간경변, 간암 |
초음파 | 초기 스크리닝 | 비용 저렴, 실시간 확인 | 해상도 낮음 | 정기검진 |
FibroScan | 간 섬유화 평가 | 간 생검 없이 진행 가능 | 정확도 한계 | 간경변 진행 평가 |
PET-CT | 암세포 대사 평가 | 전이 여부 실시간 확인 | 고비용, 방사선 노출 | 간암 전이 평가 |
간 혈관 조영술 | 간 동맥 평가 | 혈류 상태 정밀 확인 | 침습적, 출혈 위험 | TACE 치료 전 검사 |
SPECT | 간 기능 평가 | 3D 혈류 분석 | 해상도 낮음 | 기능적 변화 감지 |
MR Elastography | 간 섬유화 탄성도 측정 | FibroScan보다 정확 | 고비용 | 간 섬유화 평가 |
간 생검 | 최종 확진 | 미세한 조직 분석 | 침습적, 출혈 위험 | 확진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