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식이 두려운 가족들 – 고령 간경화 환자와 함께하는 현실적인 선택

치료가 아닌 동행. 고령 환자와 함께 지키는 삶의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2025-05-02
4 mins read
11 views
노령의 여성 환자와 중년의 남성이 서로 손을 맞잡고 있다

1. 이런 상황, 혹시 익숙하지 않으신가요?

“어머니가 간경화 중증 진단을 받으셨습니다.
심장 혈관 시술도 받으셨고, 고혈압도 오래 앓아오셨습니다.”

70 중반을 넘기시며
이미 많은 시간 동안
몸도 마음도 힘겹게 싸워오셨던 어머니.

병원에서는 이식 이야기는 꺼내지도 않습니다.
“그냥 관리하면서 지켜보자”는 말만 돌아옵니다.

오십 넘은 자식인 나는,
직장도 다니고, 가족도 돌봐야 하고,
어머니의 병을 생각하면 가슴이 무너지지만
간이식 수술 이야기를 꺼내는 것조차 무섭습니다.

“이식은 희망이 아니라 두려움이 되어버렸습니다.”


2. 왜 이런 상황에서는 간이식이 어려운 걸까요?

● 용어 설명

간이식(liver transplantation)
심각하게 손상된 간을 대신해 건강한 간을 이식하는 수술입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가 이식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원리 설명 (비유 포함)

이식은 단순히 ‘간을 바꾼다’는 수술이 아닙니다.
심장, 폐, 신장, 면역체계 모두
극심한 스트레스와 회복 과정을 견뎌야 하는
‘몸 전체의 재건’ 작업입니다.

“마치 오래된 집을 수리할 때,
기둥부터 천장까지 모두 버텨야 가능한 것처럼.”

기둥(심장)이나 지붕(혈관)이 이미 약한 상태라면,
수리 도중 무너질 위험이 너무 크기 때문에
수리를 포기하고,
남아있는 집을 관리하며 쓰는 방법을 택하는 것입니다.


● 고령 간경화 환자에게 간이식이 어려운 이유

항목주요 고려 사항
고령70세 이상 고령에서는 수술 후 회복이 매우 어려움
심장 질환 이력시술을 받은 심장 혈관은 이식 중 심각한 합병증 위험
고혈압고혈압 자체가 이식 수술과 회복 과정에 큰 부담
전신 체력 저하면역력과 회복력 부족으로 생존율 저하
수술 스트레스 감당 불가전신 마취, 대량 출혈, 장시간 수술을 견디기 어려움

“이식은 생명을 늘리는 수단이 아니라,
‘감당 가능한 희망’이어야 합니다.”


● 50대 자식이 느끼는 ‘두려움’

  • 공여자로 나서는 것 자체가 육체적 부담
  • 직장, 가족, 부모님 모두를 지켜야 하는 심리적 부담
  • 수술 후 회복 실패 시 감당할 수 없는 상실감

“마음은 준비되어 있어도,
몸과 현실은 준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제 얘기 같다고요? 사실, 제 이야기입니다.

“어머니를 살리고 싶었습니다.
내 간의 일부라도 드릴 수 있다면, 주저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상담을 받고, 이야기를 듣고, 스스로를 들여다보니
깨닫게 되었습니다.

  • 어머니의 몸은 더 이상 거대한 수술을 견딜 수 없다는 사실을.
  • 내 삶도 단순히 멈출 수는 없다는 현실을.

그리고 무엇보다,
어머니도 그것을 알고 계셨다는 것을.

“그냥 옆에 있어주면 된다.”
어머니의 말에, 울컥했습니다.


4. 그래서, 지금 당장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고령 간질환 가족을 위한 ‘관리와 동행’ 루틴]

단계실천 과제설명
1단계작은 증상도 기록하기식사량, 부종, 의식변화 등을 매일 기록
2단계혈압과 체중 매일 측정급격한 변화는 바로 병원과 공유
3단계부드러운 식사 유지저염식, 고단백, 소화 쉬운 음식 중심
4단계병원 방문 주기 계획정기 외래 진료 스케줄화, 필요한 질문 미리 준비
5단계감정 관리 루틴 갖기자신도 지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주기적 휴식 확보

PDF 다운로드:
“간경화 고령 환자 동행 노트”


5. 정리해볼게요. 그리고, 다음 이야기

  • 정보: 고령, 심장질환, 고혈압이 있는 경우
    간이식은 오히려 생존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감정: 무조건 고치겠다는 의지만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것도 사랑입니다.
  • 실천: 병을 ‘치료’가 아니라 ‘관리’하는 전략으로 전환하세요.

다음 콘텐츠 예고:
“고령 간질환 환자와 함께하는 일상 루틴 – 지치지 않고 함께 가는 방법”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간지남

건강을 무시하던 환자에서, 실천하는 사람으로 의사는 아니지만,
질병과 매일 사는 법을 아는 사람입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Follow me

Don't M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