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치료, 포기하지 마세요 – 단계별 치료법과 간이식까지 완전 정리

조기 간암부터 말기 간암까지, 환자와 가족이 알아야 할 치료 선택지와 희망의 실천 가이드
2025-04-14
4 mins read
6 views
간암 치료 방법, 간절제술, 항암제 치료, 간이식

“간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간암 치료, 단계별 선택지와 희망의 방향 찾기


간암은 왜 조기 진단이 중요한가요?

“간암은 증상이 없을 때 치료할 수 있고, 증상이 나타나면 이미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간은 통증신경이 거의 없는 장기이기 때문에, 암이 꽤 진행되기 전까지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 여부에 따라 치료 전략과 예후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간암 치료의 3가지 기본 축

간암 치료는 단순히 종양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종합해 치료 방향이 결정됩니다.

  1. 암의 위치와 크기 – 암이 어디에, 얼마나 퍼져 있는가?
  2. 기저 간질환의 상태 – 간경변 여부, 남은 간 기능
  3. 전신 건강 상태 – 수술이나 항암 치료를 견딜 수 있는 체력 여부

간암 단계별 주요 치료법

■ 조기 간암 (Stage I~II)

[치료 목표: 완치 가능]

치료법설명
간절제술간 기능이 충분할 경우, 암 부위만 수술로 제거
고주파 열치료 (RFA)바늘로 열을 가해 암 조직 괴사. 수술이 어려운 경우 대안
경동맥 화학색전술 (TACE)암 혈관에 항암제를 주입하고 혈류 차단

종양이 1개, 5cm 이하일 경우 간절제술의 완치율이 높습니다.


■ 진행성 간암 (Stage III)

[치료 목표: 생명 연장 + 증상 조절]

치료법설명
TACE 반복 시행종양이 크거나 다발성일 경우 반복 시술 필요
방사선 치료 (RT)특정 부위 국소 조절 목적. 최근 활용 범위 확대 중
표적항암제소라페닙, 렌바티닙 등. 암세포 성장 억제
면역항암제 (ICI)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 공격. 병합요법이 효과 높음

최근 치료법 발전으로 생존기간이 크게 연장되고 있습니다.


■ 말기 간암 (Stage IV)

[치료 목표: 통증 조절 + 삶의 질 유지 + 생명 연장]

치료법설명
방사선 치료통증 완화 및 출혈 방지 목적
경구 항암제증상 완화 및 진행 억제
간이식 평가조건 충족 시 일부 말기 환자도 이식 대상 가능
완화의료 (호스피스)통증 관리, 정서적 지원 중심의 치료 접근

간이식은 어떤 경우에 가능한가요?

간이식은 간경변과 간암이 함께 있는 환자에게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일 수 있습니다.

항목기준
Milan Criteria종양 1개 ≤ 5cm or 종양 3개 이하, 각각 ≤ 3cm
간 기능간 기능 저하(F4 이상), Child-Pugh 점수 고려
전이 여부다른 장기로의 전이 없어야 함
이식 후 관리면역억제제 평생 복용 + 정기 추적검사 필요

조기 간암이면서 간 기능 저하가 심한 경우, 간이식은 최선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치료를 결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질문

  1. 암의 크기와 위치는 어디인가요?
  2. 간 기능은 얼마나 남아 있나요? (Child-Pugh, MELD 점수 등)
  3. 수술 또는 항암 치료를 감당할 수 있는 체력인가요?

치료는 단순히 ‘암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몸 상태를 함께 고려해 결정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간암 치료 후 관리도 중요합니다

항목관리 방법
식이요법고단백, 고칼로리 식사. 단, 나트륨 제한 필요 (복수 방지)
간 기능 관리B형/C형 간염 병행 치료 필요 (항바이러스제 지속 복용)
재발 모니터링수술 후에도 3~6개월 간격으로 정기검진 필수
정서적 지원불안, 우울 등 정서적 돌봄. 가족·전문가의 지원 중요

간암 진단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지금은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시간이며, 치료의 시작은 곧 희망을 보는 것입니다.

조기 발견이 희망의 열쇠이고, 포기하지 않는 태도가 그 희망을 키워갑니다.

지금, 당신의 간은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당신의 삶은 바꿀 수 있습니다.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간지남

건강을 무시하던 환자에서, 실천하는 사람으로 의사는 아니지만,
질병과 매일 사는 법을 아는 사람입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Follow me

Don't M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