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 수치, 간 말고도 알려주는 것들 – ALT와 다른 점은?

수치 하나만으로 판단하기엔 간은 너무 복잡합니다.
2025-05-01
4 mins read
3 views
경고등 아래 AST

1.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

“ALT는 정상인데, AST가 높게 나왔네요.”
“간 수치 둘 다 봐야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피검사지를 들고도 한참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ALT는 간, AST는 심장도 관련 있다고요?
도대체 이 숫자가 뭘 말하는 걸까요?”


2. AST,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 용어 설명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간뿐 아니라 심장, 근육, 신장 등 여러 조직에 있는 효소입니다.

  • 특히 간세포가 손상되면 ALT와 함께 AST도 올라갑니다.
  • 하지만 심장이나 근육 손상 때도 AST가 상승할 수 있어
    간 특이성은 ALT보다 낮습니다.

“AST는 간을 포함한 ‘전신 조직 손상의 신호’입니다.”


● 원리 설명 (비유 포함)

AST는 마치 긴급 경보벨 같습니다.
간, 심장, 근육 중 어디든 문제가 생기면 같이 울립니다.

반면 ALT는 ‘간 전용 경보기’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두 수치를 함께 비교하면
손상 부위가 간인지, 다른 장기인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 AST 수치 기준

구분수치 (IU/L)해석
정상0~40전신 조직 안정
경도 상승41~80간/심장/근육 손상 가능성
중등도 상승81~200급성 손상 가능성
고도 상승201 이상심각한 간염, 심장질환 등 의심

● ALT:AST 비율로 보는 간질환 시그널

ALT:AST 비율의미
ALT > AST지방간, 비알코올성 간염(NASH) 가능성
AST > ALT알코올성 간질환, 간경화 가능성
AST 매우 높고 ALT 낮음심장 질환(심근경색) 가능성도 고려 필요

“두 수치를 동시에 보면, 간의 상태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질환별 AST 수치 경향

질환AST 수치특징
지방간경도 상승 (40~80)ALT가 더 높고, AST는 살짝 상승
비알코올성 간염(NASH)50~150ALT > AST, 만성적 염증 동반
알코올성 간염100~400AST가 ALT보다 2배 이상 높음
간경화정상~약간 상승간세포 줄어 AST도 감소, AST > ALT
간암다양, 보통 경도 상승간 기능보다 암 크기와 위치에 영향

● AST 상승, 간 외 원인도 있다

  • 심장 질환: 심근경색, 심부전 등
  • 근육 손상: 격렬한 운동, 근육염
  • 갑상선 기능저하증
  • 용혈성 질환

검사 전 격한 운동을 했다면
AST가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3. 나와 닮은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운동 시작하고 검진을 했더니 AST만 높대요.
간 때문인 줄 알고 겁부터 났죠.”

“ALT보다 AST가 더 높다니까
술 때문인가 싶어 소름이 쫙…”

이 수치들 안에는
내 지난 습관과 오늘의 몸 상태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4.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는 AST 점검 루틴

[AST 수치 점검 루틴 – 5일 관리법]

요일실천 과제설명
1일차AST/ALT 비율 체크검사 결과 확인 후 사진 or 메모
2일차음주 완전 중단AST>ALT라면 특히 중요
3일차가벼운 유산소 운동근육 무리 피하면서 혈류 순환 촉진
4일차스트레스 수면 체크수면 부족도 간 부담 원인
5일차고단백 과잉 피하기단백질 보충제 등도 AST 상승 원인 가능성

PDF 다운로드:
“AST 수치 이해 & 루틴 정리표”


5. 정리해볼게요. 그리고, 다음 이야기

  • 정보: AST는 간뿐 아니라 여러 장기의 손상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 감정: 수치 하나로 겁먹기보다, 내 몸을 들여다보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 실천: AST와 ALT는 함께 봐야 합니다. 오늘부터 생활 루틴을 점검해보세요.

다음 콘텐츠 예고:
“ALT·AST 함께 보는 법 – 내 간 건강, 수치로 읽는 기술”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간지남

건강을 무시하던 환자에서, 실천하는 사람으로 의사는 아니지만,
질병과 매일 사는 법을 아는 사람입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Follow me

Don't M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