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런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
“ALT는 정상인데, AST가 높게 나왔네요.”
“간 수치 둘 다 봐야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피검사지를 들고도 한참을 들여다보게 됩니다.
“ALT는 간, AST는 심장도 관련 있다고요?
도대체 이 숫자가 뭘 말하는 걸까요?”
2. AST,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 용어 설명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는
간뿐 아니라 심장, 근육, 신장 등 여러 조직에 있는 효소입니다.
- 특히 간세포가 손상되면 ALT와 함께 AST도 올라갑니다.
- 하지만 심장이나 근육 손상 때도 AST가 상승할 수 있어
간 특이성은 ALT보다 낮습니다.
“AST는 간을 포함한 ‘전신 조직 손상의 신호’입니다.”
● 원리 설명 (비유 포함)
AST는 마치 긴급 경보벨 같습니다.
간, 심장, 근육 중 어디든 문제가 생기면 같이 울립니다.
반면 ALT는 ‘간 전용 경보기’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두 수치를 함께 비교하면
손상 부위가 간인지, 다른 장기인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 AST 수치 기준
구분 | 수치 (IU/L) | 해석 |
---|---|---|
정상 | 0~40 | 전신 조직 안정 |
경도 상승 | 41~80 | 간/심장/근육 손상 가능성 |
중등도 상승 | 81~200 | 급성 손상 가능성 |
고도 상승 | 201 이상 | 심각한 간염, 심장질환 등 의심 |
● ALT:AST 비율로 보는 간질환 시그널
ALT:AST 비율 | 의미 |
---|---|
ALT > AST | 지방간, 비알코올성 간염(NASH) 가능성 |
AST > ALT | 알코올성 간질환, 간경화 가능성 |
AST 매우 높고 ALT 낮음 | 심장 질환(심근경색) 가능성도 고려 필요 |
“두 수치를 동시에 보면, 간의 상태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질환별 AST 수치 경향
질환 | AST 수치 | 특징 |
---|---|---|
지방간 | 경도 상승 (40~80) | ALT가 더 높고, AST는 살짝 상승 |
비알코올성 간염(NASH) | 50~150 | ALT > AST, 만성적 염증 동반 |
알코올성 간염 | 100~400 | AST가 ALT보다 2배 이상 높음 |
간경화 | 정상~약간 상승 | 간세포 줄어 AST도 감소, AST > ALT |
간암 | 다양, 보통 경도 상승 | 간 기능보다 암 크기와 위치에 영향 |
● AST 상승, 간 외 원인도 있다
- 심장 질환: 심근경색, 심부전 등
- 근육 손상: 격렬한 운동, 근육염
- 갑상선 기능저하증
- 용혈성 질환
검사 전 격한 운동을 했다면
AST가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3. 나와 닮은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운동 시작하고 검진을 했더니 AST만 높대요.
간 때문인 줄 알고 겁부터 났죠.”
“ALT보다 AST가 더 높다니까
술 때문인가 싶어 소름이 쫙…”
이 수치들 안에는
내 지난 습관과 오늘의 몸 상태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4.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는 AST 점검 루틴
[AST 수치 점검 루틴 – 5일 관리법]
요일 | 실천 과제 | 설명 |
---|---|---|
1일차 | AST/ALT 비율 체크 | 검사 결과 확인 후 사진 or 메모 |
2일차 | 음주 완전 중단 | AST>ALT라면 특히 중요 |
3일차 | 가벼운 유산소 운동 | 근육 무리 피하면서 혈류 순환 촉진 |
4일차 | 스트레스 수면 체크 | 수면 부족도 간 부담 원인 |
5일차 | 고단백 과잉 피하기 | 단백질 보충제 등도 AST 상승 원인 가능성 |
PDF 다운로드:
“AST 수치 이해 & 루틴 정리표”
5. 정리해볼게요. 그리고, 다음 이야기
- 정보: AST는 간뿐 아니라 여러 장기의 손상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 감정: 수치 하나로 겁먹기보다, 내 몸을 들여다보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 실천: AST와 ALT는 함께 봐야 합니다. 오늘부터 생활 루틴을 점검해보세요.
다음 콘텐츠 예고:
“ALT·AST 함께 보는 법 – 내 간 건강, 수치로 읽는 기술”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