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기 감염? B형 간염과 무슨 관계가 있나요?”
출산 전후 B형 간염 감염의 위험과 예방 가이드
주산기 감염이란?
주산기 감염이란 임신 후기부터 출산 직후까지의 기간에 산모로부터 태아 또는 신생아에게 감염이 전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확히는 다음 시기를 포함합니다:
- 임신 28주 이후 (임신 후기)
- 분만 중 (출산 과정)
- 출산 직후 신생아기 (생후 1주 이내)
이 기간 동안 산모의 혈액, 체액, 산도 등을 통해 태아가 감염되면 ‘주산기 감염’이라 부릅니다.
B형 간염에서 주산기 감염의 의미는?
산모가 B형 간염 보유자(HBsAg 양성)일 경우, 출산 중 또는 출산 직후 신생아가 산모의 혈액·체액에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산모가 HBeAg(바이러스 활동성 지표)까지 양성이라면, 감염 위험은 70~90%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왜 위험한가요?
성인이 B형 간염에 감염되었을 때는 대부분 면역반응으로 인해 자연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주산기 감염으로 감염된 신생아의 90% 이상이 만성 B형 간염 보균자로 남습니다. 이는 면역 체계가 아직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즉, 한 번 감염되면 평생 간염을 안고 살아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예방법은?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출산 직후 12시간 이내에 백신과 면역글로불린을 함께 접종하는 것입니다.
✅ 표준 예방 절차
- 출산 직후 12시간 이내
- HBIG (면역글로불린) 1회 접종
- B형 간염 백신 1차 접종
- 생후 1개월, 6개월에 추가 접종 → 총 3회 백신 접종 완료
✅ 산모가 HBeAg 양성일 경우
- 임신 28~32주 경부터 항바이러스제 투약 고려 (의사 판단하에)
핵심 요약 정리
항목 | 설명 |
---|---|
주산기 감염 | 엄마 → 아기 감염 (임신 후기 ~ 출산 직후) |
주된 원인 | B형 간염, HIV, 헤르페스, 매독 등 |
예방 핵심 | 백신 + 면역글로불린 조기 접종 |
의미 | 감염되면 만성화 가능성 높아 평생 관리 필요 |
“신생아는 스스로 바이러스를 이겨낼 힘이 없습니다.”
산모가 B형 간염 보유자라면, 아기의 평생 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 예방 조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출산 직후 12시간, 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마세요.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포스트는 간 건강을 공부하고 있는 환자 본인의 입장이자, 환자 가족의 입장에서 작성한 정보 공유용 글입니다. 개별 상황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새로운 시도 전에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가 직접 조사하고, 이해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문 의료인이 아니기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시면 바로 댓글을 남기시거나,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정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