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복을 입은 남자

About

질병은 의사에게 맡기기 전에, 환자 자신이 먼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의료 시스템은 ‘치료’에 집중하지만, 질병의 시작과 예방, 일상 속 초기 대응은 환자 스스로가 이해하고 움직여야 가능한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의사가 아닌 ‘지방간과 간 질환을 직접 경험하고 있는 환자’로서, 실제로 겪고, 느끼고, 배운 것들을 통해 더 현실적이고 공감 가는 건강 콘텐츠를 전하고자 합니다.

저는 환자입니다.
하지만, 당신보다 간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아는 환자입니다.


왜 이 블로그를 시작했는가

처음 ‘지방간’ 진단을 받았던게 까마득합니다. 그때는 지금 여기까지 오게 될 줄 전혀 몰랐습니다.

언제부터인지 기억도 나지 않지만, 매년 건강검진 때마다 단골로 ‘지방간 경증’ 소견이 꼬리표 처럼 따라다녔습니다. 만성이 된거죠.

의사는 “운동하시고, 술 줄이세요”라고 말했지만,
어떻게 운동해야 하고, 무엇을 먹어야 하며, 이게 정말 위험한 건지
제대로 알려주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혼란스러웠고, 두려웠습니다. 하지만, 그것도 계속 반복되고, 아무런 이상은 없는 것 같은 느낌적 느낌이 쌓이니, 어느 순간부터 무시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작년 2024년 건강검진 결과에서 “소화기내과 진료 요망” 이라는 문구가 요난히 크게 다가왔습니다.

회사 부속의원 내과전문의와 상담을 하는데 처음으로 좀 심각하게 이야기를 하더군요. 간 수치가 갑자기 많이 올라갔다. 무슨 일이 있었냐, 등등

1년 전인 2023년 보다 3.3배 상승
AST 2.4배 상승, ALT 3.3배 상승과 간기능 저하였습니다.

그제야 저는 건강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여정에서 깨달았죠.

‘건강은 진단 이후가 아니라,
진단 이전부터 관리했어야 했다는 것을…

그리고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은 생각보다 많고,
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곳은 거의 없다는 것도…


이 블로그는 누구를 위한 공간인가요?

이 블로그는 아래와 같은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 건강검진 결과에 ALT, GGT 같은 낯선 수치를 처음 마주한 분
  • 지방간, 간염, 간수치 이상이라는 말을 들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
  • 병원에서는 치료만 이야기할 뿐, 예방과 초기 대응은 제대로 알려주지 않아 답답했던 분
  • 전문가의 말보다, 실제로 겪은 사람의 이야기가 더 궁금했던 분

전문의가 아닌 환자로서 콘텐츠를 만든다는 것

저는 의사도, 약사도 아닙니다.
하지만 저는 지방간과 간경화를 겪은 가족을 간병하며,
그리고 저 자신의 수치와 싸워가며,
그 어떤 논문보다 현실적인 정보를 몸으로 익혀왔습니다.

전문의는 병을 진단하지만,
환자는 그 병과 함께 살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질병의 전 과정 – 예방, 초기 대응, 진행 단계별 실천 – 을 모두 연결해서 전달합니다.
전문의가 놓치는 일상의 언어로, 환자가 먼저 이해할 수 있도록.


이 블로그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

콘텐츠 주제주요 내용
질병 이해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 간 질환의 원리와 단계별 특징
진단 해석ALT, AST, GGT 등 검사 수치 쉽게 이해하기
실천 팁실제로 효과 본 식습관, 운동법, 영양제 리뷰
경험 스토리나와 가족의 간 질환 이야기, 감정과 깨달음
정보 정리건강검진, 병원 진료, 약물에 대한 정보 큐레이션
요약 콘텐츠짧고 간단하게 정리한 핵심 정보 (SNS 연동)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

이 블로그는 정보를 나열하는 곳이 아니라,
지금 바로 실천할 수 있는 한 가지를 보여주는 곳이 되고 싶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당신의 간도 지킬 수 있다고,
저는 진심으로 믿습니다.


연결될 채널들 (아직 계획 중입니다)

  • 인스타그램 – 짧은 실천 팁과 카드뉴스
  • 유튜브 채널 – 시즌제 스토리 기반 간 건강 이야기
  • 이메일 구독 (옵션) – 매주 새로운 콘텐츠 업데이트 안내

“이곳은 환자가 만든, 환자를 위한 건강 정보 공간입니다.”

Popular posts

3 산정특례제도 소개 일러스트,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해주는 제도임을 암시

산정특례제도란?

중증질환(암, 심장질환 등), 희귀질환, 중증난치질환, 결핵, 중증외상 등 특정 질환에

Follow me